세상에서 가장 비싼 그림 - 10위 [앤디 워홀_실버 카 크래시]
세상에서 가장 비싼 그림 순위
10위 : $105,445,000
앤디 워홀 - 실버 카 크래시 (이중참사)
1106억 3000만원
신문 1면에 비행기 추락사고, 사진이 대문짝만 하게 실렸다. 129명 사망. 아마 이때가 시작이지 싶다. 나는 매릴린 먼로도 그렸다. 내가 하는 것들은 전부 죽음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리스마스, 노동절, 휴일 등 아무 때나 라디오를 틀면 뉴스가 흘러나온다. '교통사고 사망자가 4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죽음과 사고' 시리즈는 그렇게 시작됐다. 그런데 이런 끔찍한 사진들을 계속 보다 보면 나중에는 아무런 느낌도 들지 않는다. - 앤디 워홀
**앤디 워홀(Andy Warhol)**의 "실버 카 크래시(Silver Car Crash)"(1963)는 **팝 아트(Pop Art)**의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로, 현대 사회의 폭력, 미디어의 영향, 그리고 죽음과 그 이미지화를 탐구한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워홀의 죽음 시리즈 중 하나로, 자동차 사고라는 강렬한 이미지를 통해 미국 문화와 미디어가 폭력적이고 감각적인 사건들을 어떻게 대중화하는지에 대한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1. 자동차 사고라는 충격적인 이미지
- "실버 카 크래시"는 자동차 사고의 이미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차량 충돌과 그로 인한 죽음은 워홀의 작품에서 반복적인 주제로 등장합니다. 이 작품은 자동차와 죽음이라는 두 가지 강렬한 상징을 결합하여, 워홀의 작품에서 자주 등장하는 대중 문화와 미디어의 상징성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 사고의 장면은 실제 사건을 재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추상적이고 시각적으로 왜곡된 형태로 묘사되어 현실과 이미지의 경계를 흐리게 만듭니다.
2. 실버 색상의 사용
- 실버 색상은 이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워홀은 이 작품에서 메탈릭 실버와 같은 강렬하고 비현실적인 색감을 사용하여, 상업적이고 기계적인 질감을 작품에 부여했습니다. 실버는 대중문화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현대적인 물질적 특성을 상징하며, 미디어나 자동차 산업의 미래적이고 기계적인 이미지를 연상시킵니다.
- 실버 색은 또한 디지털화된 혹은 기계화된 사고를 나타내며, 이 사고가 기계적인 과정의 일환으로 일어난 것처럼 보이게 합니다. 이는 대중문화와 미디어의 무감각성을 비판하는 워홀의 의도를 담고 있습니다.
3. 반복적인 이미지와 기계적 특성
- 워홀은 반복적인 이미지를 통해 기계적인 생산과 대중 소비를 비판합니다. 이 작품에서 사고 장면은 여러 번 반복되며, 각 장면은 약간씩 왜곡된 형태로 표현됩니다.
- 이러한 반복적 기법은 워홀의 캔버스에서 기계적 생산의 속성을 나타내며, 사고와 같은 폭력적 사건도 대중 문화의 일환으로 기계적이고 형식적으로 소비되는 것으로 보이게 만듭니다.
4. 미디어의 폭력적 이미지
- "실버 카 크래시"는 미디어가 폭력적 이미지를 어떻게 대중화하는지에 대한 비판적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워홀은 자동차 사고와 같은 충격적인 사건이 미디어를 통해 반복적으로 소비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작품은 대중적 소비를 위한 폭력적 이미지의 대량 생산을 비판하며, 미디어의 윤리적 경계를 물어봅니다.
- 이 작품에서 자동차 사고라는 고통스러운 이미지가 대중 문화의 일상적 요소로 취급되며, 폭력적 사건이 어떻게 상업화되고 패턴화되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제기합니다.
5. 죽음과 대중문화의 결합
- 워홀의 작품은 종종 죽음과 죽음의 상징을 다루고 있습니다. "실버 카 크래시"는 자동차 사고를 소재로 한 죽음의 이미지를 통해, 죽음이 어떻게 미디어와 대중문화에서 상업적 소비의 대상이 되는지를 표현합니다.
- 작품은 폭력적이고 죽음을 초래하는 사건이 감정적 반응을 유도하기보다는 비상적이고 무감각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키게 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6. 상업성과 예술의 경계
- "실버 카 크래시"는 워홀의 전형적인 상업성과 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품입니다. 워홀은 대중문화에서 소비되는 이미지를 예술 작품으로 바꾸는 작업을 했으며, 이 작품에서도 대중적 사고 이미지를 예술적 문맥에 끌어들입니다.
- 자동차 사고라는 소비되는 이미지는 대중문화의 폭력적 특성을 드러내며, 동시에 예술 작품에서 다루어지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변환됩니다.
7. 대중문화와 예술의 결합
- 워홀은 대중문화와 예술의 결합을 통해, 예술이 더 이상 고유한 영역에 한정되지 않고 상업적, 소비적 성격을 띠게 되는 변화를 선보였습니다. "실버 카 크래시"는 그런 변화의 중요한 예로, 미디어와 대중문화의 폭력성을 예술적 언어로 해석하고, 사회적, 문화적 문제를 예술적 맥락에서 탐구한 작품입니다.
결론:
**"실버 카 크래시"**는 자동차 사고와 죽음이라는 충격적인 이미지를 통해 미디어의 폭력적 소비, 대중문화의 상업화 및 미디어의 감각적 무감각성을 비판하는 작품입니다. 실버 색상의 사용과 반복적 이미지는 워홀의 작품이 기계적이고 상업적인 특성을 어떻게 예술적 방식으로 탐구하는지를 보여주며, 대중문화와 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워홀의 예술적 의도를 강조합니다.
The Most Expensive Art Works No.10
Andy Warhol(1928~1987)
Silver Car Crash(Double Disaster), 1963
▶ 그림종류 : 캔버스에 실크 스크린, 실버 스프레이 프린트
▶ 사이즈 : 266.7 X 421.6cm
▶ 거래구분 : 2013년, 뉴욕 소더비
▶ 판매자 : 미상
▶ 구매자 : 미상
'각종순위 >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서 가장 비싼 그림 - 14위 [피카소_고양이와 있는 도라 마르] (0) | 2019.02.26 |
---|---|
세상에서 가장 비싼 그림 - 13위 [앤디 워홀_여덟개의 엘비스] (0) | 2019.02.26 |
세상에서 가장 비싼 그림 - 12위 [자코메티_걷는남자1] (0) | 2019.02.26 |
세상에서 가장 비싼 그림 - 11위 [피카소_파이프를 든 소년] (0) | 2019.02.26 |
세상에서 가장 비싼 그림 - 9위 [피카소_누드와 푸른 잎사귀와 흉상] (0) | 2019.02.26 |
세상에서 가장 비싼 그림 - 8위 [재스퍼 존슨_깃발] (0) | 2019.02.26 |
세상에서 가장 비싼 그림 - 7위 [뭉크_절규] (0) | 2019.02.26 |
세상에서 가장 비싼 그림 - 6위 [아델레 블로흐_바우어의 초상1] (0) | 2019.02.26 |